2023년 전기차 배터리 시장 815조, 배터리 구조 Part.2

 

국내외 주요 배터리 회사의 배터리 혁신 방향을 보면 배터리 자체의 성능 향상이 아니라

배터리를 배치하는 구조의 최적화를 통한 공간활용 극대화를 이루려 하고 있다. 

이유는 위 그림을 보면 쉽게 알수 있는데 회색으로 표시된 셀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분은 부품이라고 보면 된다. 

"셀이 차지 하는 공간이 적다 = 주행 거리가 짧다"

국내 배터리 3사는 이 부분을 메꾸기 위해서 성능이 좋은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었는데 "성능이 좋지만 비싸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배터리사가 선택한 방법은 "싼 배터리를 많이 넣자"

 

리튬이온배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하면서 모듈을 없애 공간확보를 통한 배터리 셀 물량 공세로 주행거리를 확보하여 경쟁력을 가지게 되었다. 

 

중국 전기차/배터리 회사인 BYD가 제시한 BLADE 배터리 팩 구조 입니다. 

모듈을 없애고 높이가 낮고 긴 BLADE 배터리의 적용으로 VCTP 배터리 팩 비율이 60%를 넘기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BLADE 배터리 특허를 보면 Z가 낮은 이점을 이용해서 주행거리가 추가로 필요하면 CTP팩을 2단으로 쌓아서 주행거리를 늘리는 모습도 보여줍니다. 

 

이렇듯 배터리 구조의 최적화는 결과적으로 CTP, CTC로 이어지게 되고 현재로써는 중국 업체인 CATL과 BYD가 가장 앞서나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https://j-early.tistory.com/4

 

2023년 전기차 배터리 시장 815조, 배터리 구조 Part.1

SNE 리서치에 따르면, 2035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약 815조 전망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은 꾸준한 성장 예상 → 예상 판매 대수 약 8천마나대 (전체 판매 예상 차량 대비 17%수준) FORD, GM, Toyota 등 전

j-earl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