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자동차 회사인 VW의 자회사로 알려진 PowerCo 배터리 회사의 Unified Cell에 대해서 소개하려 한다.
기존의 각형 셀과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을 보면 VW이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전기차 설계 방향을 알 수 있다.
기존의 각형 셀은 직 사각형태에 극 단자가 위를 향하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셀을 연결해서 팩을 만드는 과정을 연상해보면, 셀의 단자부가 상부를 향해 있으면 셀의 크기 만큼의 면적에 해당하는 연결 부품이 필요하다는것을 알게 될 것이다.
위 이미지 처럼 배터리 셀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인 센싱 모듈로 불리우는 FPCB와 기타 버스바, PC커버, 마이카 패드 등이 필요한데 이 면적이 셀 갯수 x 셀 단자간 거리 만큼 필요하게 되는것이다.
전기차에 들어가는 셀의 갯수는 배터리팩 면적만큼이기에 결과적으로 차량 바디 만큼 면적의 연결 부품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025.06.04 - [전기차] -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Nio의 Firefly 배터리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Nio의 Firefly 배터리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Nio의 Firefly 배터리 Sunwoda의 LFP 배터리 셀을 사용해서 CATL Choco-SEB 교체 표준에 대응할 수 있게 설계 NIO 배터리 팩 사양 중량 밀도 - 에너지 : 134 Wh/kg 사용 가능 용량 : 41.2 kW, S
j-early.tistory.com
기존의 이런 구조를 가장 먼저 깨트린 회사는 BYD 이며, BYD 가 출시한 blade 배터리에서 개선 모습을 발견 할 수 있다.
공개 당시 시장에 엄청난 충격을 안겨줬던 배터리 셀인데 기존 상식의 틀을 깨고 배터리 셀을 좁고 길게 만들어서 배터리 팩에 탑재되는 셀의 갯수를 최대화하면서 연결 부품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셀의 형태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약 1m에 가까운 길이로 넓이 12mm, 높이 90mm 짜리 얇고 긴 배터리의 형태이며, 셀의 극단자 위치는 양 옆을 향하고 있는 형태였다.
기본적으로 이런 형태가 적용되게 되면 공간 활용도가 면적의 60%가깝게 쓸수 있게 되는것이다. (그만큼 셀 탑재량이 늘어남)
Blade 셀 공개 이후 거의 모든 배터리 사들은 배터리 셀 사이즈를 키우기 시작했고 형태에 따라서 늘리거나 연결하거나 하는 구조로 변화를 취하게 되었다.
저렴한 배터리 셀을 많이 탑재하는 방향으로 중국 회사들이 방향을 잡게 되어 전기차 배터리 시장을 뒤흔들었는데, 여기서 또 하나의 구조적 강점을 가지게 된게 배터리 단자를 옆으로 이동시킨 것이었다.
앞서 말한것처럼 배터리 단자를 위쪽이 아닌 옆으로 이동하게 되면 셀 간을 연결하는 구조물의 사이즈나 부품 수가 줄게 되어 부피 중량 적으로 강점이 생기게 된다. 여유로워진 공간만큼 셀을 더 넣거나 구조물을 추가하여 배터리 팩의 강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되고 있다.
'전기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 화재 예방과 운행 안전 확보를 위해 현대, 기아, 벤츠 등 제작사에서 전기차 무상 안전점검을 실시 (2) | 2025.06.10 |
---|---|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 앞두고 오스틴의 공식 AV 운영사로 지정 (2) | 2025.06.10 |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Nio의 Firefly 배터리 (1) | 2025.06.04 |
2025 현대 싼타페 페이스리프트 (2) | 2025.05.28 |
테슬라 모델 Y의 진화 (주니퍼 Juniper model Y) (1) | 2025.05.27 |